「교육과 문화」투고 논문 작성 요령



1. 원고 작성

1) 논문은 한글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으로 작성한다.

2) 논문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의 혼동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漢子로 표시하거나 ( ) 속에 원어를 써넣는다.

3) 전체 원고분량은 본 게재 논문 작성요령에 따라 편집하여 인쇄했을 때 참고문헌과 초록을 포함하여 전체 10쪽 내외를 원칙으로 한다. 다만 필요한 경우 이보다 많을 수 있으나 최대 25쪽을 넘지 않도록 한다.

4) 아래 기재되지 않은 기타사항은 APA(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논문작성법을 따른다.


2. 본문 내의 문헌 인용

1) 직접인용

(1) 인용하는 내용이 짧은 경우에는 본문 속에 큰 따옴표를 하고 그 사이에 기술한다.

예) 홍길동(2019: 12-13)에 의하면, “......”

예) 연구에 의하면, “.....”(홍길동, 2019: 12-13) 

(2) 긴 경우(3행 이상)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하며, 따로 기술하는 경우에는 인용부분의 아래, 위를 본문에서 한 줄씩 비우고 좌우로 각각 3글자씩 들여 쓴다.

(3) 본문에 인용한 문헌의 저자, 발행 연도, 그리고 해당 면의 쪽수를 제시하고 게재 논문 작성 요령에 따라 참고문헌에 기재해야 한다.

2) 간접인용

(1) 1인 저자에 의한 문헌

예) 이 문제에 대하여 홍길동(2019)은 ⋯

예) ⋯이라고 밝혔다(홍길동, 2019).

(2) 2인 저자에 의한 문헌

예) 관련 연구(홍길동, 2019; Bruner, 2018)에 의하면 ⋯

예) 김인성과 이창의(2018)는...

예) ⋯이라고 밝혔다(김인성, 이창의, 2018).

예) Bandura와 Schunk(1981)는...

예) ...라고 하였다(Bandura & Schunk, 1981).

(3) 3인 이상 5인 이하의 저자에 의한 문헌

첫 번째 인용

예) 이창의, 김인성, 홍길동과 신한국(2019)은…

예) Borden, Jones, Smith, Benson과 Corey(2000)는…

예) …라고 하였다(Borden, Jones, Smith, Benson, & Corey, 2000).

두 번째 이후 인용

(첫 번째 저자만 표기하였을 때 참고문헌이 중복되는 경우는 참고문헌을 구별하는데 필요한 수만큼 저자를 표기한다) 

예) 이창의 등(2019)은…

예) Borden et al.(2000)은… 

예) …과 같다(Borden et al., 2000).

(4) 6인 이상의 저자에 의한 문헌

첫 번째와 그 이후 인용 시, 첫 번째 저자의 다음에 ‘등’을 붙인 후 연도를 표기한다. 

첫 번째 저자만 표기하였을 때 참고문헌이 중복되는 경우는 참고문헌을 구별하는데 필요한 수만큼 저자를 표기한다.

예) 김인성 등(2018)은 …

예) …라고 보고하였다(김인성 등, 2018).

예) Ireys et al.(2001)은… 

예) …과 같다(Ireys et al., 2001).

(5) 하나의 사항에 여러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국내문헌, 동양문헌, 서양문헌 순으로 나열한다. 

또한, 국내문헌과 동양문헌은 저자명의 가나다순으로, 서양문헌은 저자명의 알파벳순으로 열거한다. 문헌들 사이를 쌍반점(;)으로 가른다.

예) 최근의 연구(홍길동, 2002; 毛澤東, 1977; Michael & John, 1990)에 의하면… 

(6) 동일 저자에 의한 둘 이상의 문헌

저자명을 쓴 다음에 출판연도에 따라 표기한다. 같은 연도의 문헌은 연도 다음에 a, b, c 등의 어미를 붙여 구분한다.

예) 이론 중 하나는 홍길동(1997, 2005)이 제시한 …이다. 

예) 이론 중 하나는 김인성(2018a, 2018b)가 제시한 …이다.

3) 개인면담, 기록, 저널 등

본문 내에 면담이나 사례 등의 인용문을 기재할 국내인의 경우에는 연구 참여자명의 완전한 이름을  기입하고, 외국인의 경우에는 이름의 머리글자와 성을 적고, 사례수집명(면담, 참여관찰 등)을 기재하고, 사례 수집 자료가 만들어진 날짜 순으로 기입한다. 

예) (홍길동, 개인 면담, 2007. 6. 30)

예) (J. M. Greene, personal communication, June 17, 1999)

4) 법령 

본문에는 성문화된 연도가 아니라 법률로 발표된 법률명과 법률 실행연도를 기입한다. 

예) 유아교육법 제1조(1998)에 의하면…

예)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2001)에서는

5) 재인용한 문헌의 경우

재인용은 원 저작물을 구할 수 없는 경우, 저자가 직접 번역한 경우, 2차 문헌의 저자가 원문을 창의적으로 재해석한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사용하며, 원저의 저자명을 쓰고 괄호로 묶어 재인용된 연구의 저자명과 재인용 연구의 출판연도를 제시하여 재인용 출처를 밝힌다. 

참고문헌에서는 재인용 문헌만 제시한다.  

예) 김인성(1990: 홍길동, 2001에서 재인용)의 연구에서는 …

6) 번역서의 경우

원저의 저자명을 적고 번역서의 출판연도를 표기한다.

예) 부모와 교사의 관계에 대하여 Gestwicki(2001)은 … 

3. 각 주

1) 필요시에는 각주(foot note)를 사용한다.

2) 각주는 본문에 표시하기 어려운 보충적인 내용이나 설명에 한하여 사용하고, 단순히 자료의 출처나 참고문헌을 밝히는 각주 사용은 삼가 한다.

3) 각주를 표시하는 위치는 해당문장이나 용어 말미 일련번호로 표시하고, 각주의 내용을 기록한다.


4. 참고문헌

본문에서 인용된 문헌만 참고문헌에 기재할 수 있으며, 논문의 말미에 韓․中․日․西洋書 순으로 열거한다. 다음에 예시한 이외의 서양서 참고문헌 작성법은 APA(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양식을 따른다.

1) 단행본의 경우

예) 김인성 (2018). 인성교육론. 서울: 교육출판사.

예) Beaty, J. J. (1992). Skills for preschool teachers.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2) 정기간행물의 경우

예) 김인성, 이창의. (2018). 대학생의 창의인성에 관한 연구. 교육과 문화, 1(2), 41-50.

예) Light, M. A., I. H. (2008). The geographic expansion of Mexican immigr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implications for local law enforcement. Law Enforcement Executive Forum Journal, 8(1), 73-82. 

3) 학위논문의 경우

예) 김인성 (2000). 대학생의 창의인성에 관한 연구. 동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예) Gold, N. C. (1981). Meta-evaluation of selected bilingual education projects(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A.

4) 번역서일 경우

예) Beaty, J. J. (2018). 인성교육론. (김인성 역). 서울: 교육출판사. (원저 1992 출판).

5) 자료집의 경우

예) 김병만 (2019).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매리교육을 위한 4C’s 창의․인성 융복합교육콘텐츠 개발연구. 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교육과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제언. 2019년 창의․인성연구소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pp. 7-27. 부산: 동명대학교 복지관

6) 편저의 경우

예) 이창의 (2018). 영화로 만나는 창의적 융합. 동명대학교 창의․인성연구소(편). 교육과 문          화선집1(pp.14-27). 경기: 공동체. 

7) 웹사이트의 경우

예) 윤정진 (2021). 창의적 노화. https://blog.naver.com/kkys2126/222362756864에서 2021년 11월 1일 인출.

8) 신문기사의 경우

예) 부산일보 (2021.08.22.). 멍 때리기와 창의성.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1080211282640769에서 2021년 11월 1일 인출. 

9) 연구보고서의 경우

예) 윤정진 (2019).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교육을 위한 4C’s 창의․인성 융복합 교육콘텐츠         개발: 공동선을 지향하는 배움공동체 구축을 중심으로(연구보고 CR2019-2). 동명대학교창의․인성연구소. 부산: 한글사. 


5. 표와 그림

1) 표의 제목은 상단에 왼쪽 정렬로 일련번호를 붙이되 표에는 < >괄호를 사용한다. 단, 본문 내에 기술할 때에는 ‘표 1에 의하면’, ‘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등으로 기술한다.

예) <표 1> <표 2>

<표 1> 창의성

하위 요인

내용

문항 번호

문항 수

호기심

 

 

 

자기확신

 

 

 


2) 그림의 제목은 하단에 왼쪽 정렬로 일련번호를 붙이되, [그림 1]과 같이 표기한다.

단, 본문 내에서 기술할 때에는 ‘그림 1에 의하면’, ‘그림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등으로 기술한다.   

예) [그림 1], [그림 2]

noname02.png

[그림 1] 균형적 접근법


3) 표의 선은 최상단, 주요경계 최하단에만 넣으며 한 줄로 된 횡선만 사용한다. 좌․우측에는       선을 그리지 않는다.

4) 통계 결과표를 작성 할 때 통계치(예: t, F, M, SD) 모두 이탤릭체로 하고, 유의도 수준 p는    표 하단 왼편에 제시한다.


6. 제목

한 줄씩 띄어 쓰며, 들여쓰기를 하지 않는다. 제목의 번호는 다음과 같다.

1단계: Ⅰ, Ⅱ, Ⅲ …

2단계:   1, 2, 3 …

3단계:    1), 2), 3) …

4단계:     ⑴, ⑵, ⑶ …

5단계:      ①, ②, ③ …


7. 초록

1) 국문으로 작성된 논문은 국문초록을 앞에 제시하고 영문초록을 뒤에 제시하며, 외국어(영어포함)로 작성된 논문은 영문초록을 앞에 제시하고, 국문초록을 뒤에 제시한다.

2) 초록의 길이는 국문 600자 내외, 영문 200단어 이내의 한 문단으로 작성한다.

3) 주제어: 주제어(Key word)는 국문요약 아래에 제시하되 한글(영문)로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성이 높은 주제어 2-5개를 제시한다.

예) 창의성, 인성교육, 대학생


8. 편집규격과 양식 

1) 편집용지: 사용자 정의(폭 190mm, 길이 260mm) 

2) 용지여백: 위 22.5.0mm / 아래 18.0mm / 왼쪽·오른쪽 25.0mm / 머리말 15mm / 꼬리말 6mm / 제본 0mm

3) 논문에 사용되는 글자와 문단모양

구분

줄간격

글꼴

정렬 방식

크기

장평

자간

들여 쓰기

내어 쓰기

좌우 여백

논문 제목

160

함초롱바탕

가운데

16

95

-5

0

0

0

0 

저자 이름

160

휴먼명조

오른쪽

11

95

-5

10

0

0

0 

큰 제목

160

함초롱바탕

오른쪽

14

95

-5

0

0

0

0 

중간 제목

160

함초롱바탕

양쪽

11.5

95

-5

0

0

0

0 

작은 제목

160

휴먼명조

양쪽

10

95

-5

0

0

0

0 

국문 초록

150

휴먼명조

양쪽

9.5

95

-5

10

0

0

0 

본 문

160

휴먼명조

양쪽

10

95

-5

10

0

0

0 

각 주

130

휴먼명조

양쪽

9

95

-5

0

3

0

0 

참고 문헌

160

휴먼명조

양쪽

10

95

-5

0

25

0

0 

영문 초록

150

휴먼명조

양쪽

9.5

95

-5

10

0

0

0


9. 기타

본 규정이 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본 규정은 2019년 11월 30일부터 시행한다.

본 규정은 2021년 11월 01일부터 시행한다.

본 규정은 2022년 02월 16일부터 시행한다.